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ETF의 이해 및 활용방안

by sooseo 2025. 10. 1.

etf가 표시된 그림

 

ETF의 이해

 

ETF에 대한 투자가 국내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실제 ETF에 대해서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 사람이 많지 않아 이번에는 ETF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ETFExchange Trade Fund의 줄인 말로, 주식과 펀드를 혼용한 하이브리드형 상품입니다. 국민 투자의 주요 상품으로 최근 시장규모가 크게 확대되고 있으며, `25.8월말 기준 국내 ETF232조원, 상장 종목수는 1,016개로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ETF의 성격은 기본적으로 주식과 펀드 투자의 성격을 혼합하고 있습니다. 펀드는 시장거래가 어려우나 주식과 같이 시장거래가 손쉽게 가능하고, 펀드에 비해 거래비용 및 매매 시의 세금도 저렴하면서 펀드와 같이 분산투자가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많은 자산운용사들이 앞다투어 새로운 ETF상품을 내놓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ETF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는 것 같습니다. ETF는 기본적으로 추정하는 목표지수가 있고, 수익률은 이 목표지수를 따라가도록 구성이 되어있습니다. 추종하는 기초지수에 따라 유형을 구분할 수 있는데 시장대표(코스피 200 ), 섹터별(자동차, 금융 등 업종), 테마별(고배당 등), 해외주식, 채권, 원자재 등의 상품이 존재합니다.

 

ETF 투자시 알아야 할 점

 

이러한 ETF를 투자를 할 경우, 일반 주식과 다르게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먼저 순자산가치가 있습니다. 보통 NAV라고 부르며, 이는 펀드의 기준가격과도 동일하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펀드에 담겨 있는 주식, 채권 등의 가치의 합계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리고 ETF 투자시 공시되는 자료 중 iNAV라고 있는데 이는 펀드의 담긴 자산의 현재 가치를 기준으로 산출된 순자산가치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 NAV의 경우 어제의 종가를 기준으로 계산된 금액이라면, iNAV는 현재 시점의 주가가 반영된 순자산가치라고 보면 됩니다. 이러한 순자산 가치와 현재 ETF의 주가와의 차이가 괴리율이며, 일반적으로 괴리율이 마이너스일 경우 순자산가치 대비 싼 가격으로 ETF 주식을 샀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추적오차에 대해서도 이해가 필요합니다. 추적오차란 ETF가 추종하는 기초지수와 ETF의 순자산가치 간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ETF는 추종하는 기초지수와 동일하게 수익률을 얻도록 설계된 상품이라고 위에서 설명하였습니다. 그러나 추종하는 지수와 차이가 발생한다면 이는 최초 예상한 수익률과 실제 투자 성과가 달라질 수가 있다는 점입니다. , 추적오차율이 적은 ETF일수록 목표인 기초지수를 잘 추종하고 본인이 예상한 지수의 움직임과 수익률이 일치한다고 볼 수가 있습니다.


ETF 활용방안

 

ETF는 기본적으로 위에서 설명한 대로 운용보수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일반 펀드들의 경우 환매에 따른 수수료가 발생하는데 ETF의 경우에는 환매수수료 또한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EFT를 보다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얘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ETF는 기본적으로 분산투자가 가능합니다. 개별주식을 투자하는 것보다 특정섹터, 전반적인 주식시장(코스피 200 )에 투자가 가능합니다.

 

그리고 투자대상의 확대가 가능합니다. 향후 인도가 엄청나게 성장할 것이라는 얘기가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서 직접적으로 인도기업에 투자할 방법은 마땅치 않습니다. 그러나 ETF를 통해 투자한다면 인도에 투자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현재 국내 및 해외에는 인도의 Nifty지수 등을 추종하는 ETF상품이 있습니다. 이 상품을 투자함으로써 기존에 투자하기가 힘들었던 투자대상에도 투자가 가능합니다. 또한 금 가격이 오를 것이라고 예상하고 투자를 원할시, 투자 대상을 찾기가 쉽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ETF를 통해서라면 금광, 금주조, 금 유통 등 이미 상품화된 ETF를 통해 쉽게 투자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또한 ETF를 통해서라면 투자 방식을 다양화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는 선물 등의 파생상품은 전문가들만 접근할 수 있는 상품으로 인식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ETF에 파생이 결합되어 지수가 하락이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인버스상품, 지수가 5%가 오를 때 ETF2배의 수익률을 얻을 수 있는 레버리지상품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상품을 통해서 손쉽게 기존에 접근하지 못했던 상품에 투자할 수가 있습니다.